감도 높인 탄저균 센서 기술 개발
안정적인 인공 펩타이드 이용, 전기화학센서 검출한계 높여
전기화학 방법 중 하나인 순환전압전류법을 이용해 전극표면의 활성 표면적을 측정한 결과로 측정전류 값이 클수록 활성 표면적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골드나노표면이 골드표면에 비해 약 6배 큰 표면적을 갖는다.
국제 공동 연구진이 탄저균 감염에 대응해 인체가 만드는 단백질을 단시간에 아주 낮은 농도까지 측정할 수 있는 전기화학 기반의 소형센서를 개발해냈다. 향후 탄저균 검출 및 감염에 따른 진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과학기술원 의료시스템학과 및 기전공학부 양성 교수 연구팀과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 제임스 히스 교수 연구팀이 함께 수행한 이번 연구결과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도약연구)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고, 나노분야 국제학술지 ACS Nano 온라인판 9월 24일자에 게재됐다.
탄저균 감염 시 폐렴 같은 호흡기 감염의 일반적인 증상이 나타나다 일정시간이 지나면 독소에 의해 사망하게 돼 조기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탄저균 감염시 탄저균에서 발현되는 탄저 방어항원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에 결합하는 항체를 사용하는 기존 센서는 단백질인 항체의 특성상 온도에 민감하고 감도를 높이는 데에도 한계가 있었다.
캘리포니아 공대 연구팀이 개발한 방어항원만을 선택적으로 포착하는 펩타이드를 광주과기원 연구팀이 개발한 금나노입자 표면에 배열해 초고감도 탄저균 센서를 개발해냈다.
개발된 센서는 미 국방부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에서 제시하는 탄저병 진단 값과 비교해 500배 수준의 감도인 약 2 pM의 낮은 농도의 방어항원도 포착한다.
이는 금전극 위에 금나노입자를 도포함으로써 표면적을 약 6배 정도 넓혀 감도를 높인데 따른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의 항체와 달리 비교적 구조가 단순한 합성 펩타이드를 이용해 온도변화 등에 따른 변성확률이 낮아 현장적용에 유리하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양 교수는 “높은 선택성과 안정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이용한 초고감도 탄저균 방어항원 센서를 개발함에 따라 탄저균 감염 여부 판단 센서로서 응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강정수 기자 rws81@daara.co.kr
Copyright ⓒ 산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산업일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일보]금형산업, 지역경제 효자역할 '톡톡' (0) | 2013.10.15 |
---|---|
[산업일보]국가식품클러스터, 중국 식품기업 투자처로 인기 (0) | 2013.10.15 |
[산업일보]“열정이 기술이고, 기술이 생활인 저는‘기능인’입니다” (0) | 2013.10.14 |
[산업일보]"중국·중남미 시장, 이렇게 뚫어라" (0) | 2013.10.13 |
[산업일보]발암물질 폐석면 … 국민은 건강 걱정, 사업자들은 가격 담합 (0) | 2013.10.13 |